알 수 없는 영역

다양한 기준으로 언어를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timing이다. 

이 기준에 의하면 언어는 
아래와 같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stress, syllable, mora
(Ken Pike, 1945)


위와 같은 기준으로 한국어와 영어를 분류해보면 
한국어는 syllable-timed language 이고, 
영어는 stress-timed language이다.


Syllable-timed language라는 것은 
사람들이 각각의 음절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인식하는 언어를 말한다. 


(물론 주변 문맥, 강조,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절대적/물리적인 길이는 분명히 다르다.

위에서 "인식"이라고 한 이유는 
인지적인 측면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런 언어의 예로는 한국어 불어 스페인어가 있다.


이와 유사하게 stress-timed language는 
각각 음절의 길이는 다르게 인식하지만,
하나의 강세의 시작부터 그 다음 강세 앞까지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인지"하는 언어를 말한다.

영어, 독어, 러시아어 등이 여기 해당된다.


이 포스팅에서 말하자고 하는 foot이란 단위는 
stress-timed language와 관련있다.

이제 이것을 기반으로 해서 
(prosodic) foot에 대해 개념을 잡으면 다음과 같다.


foot의 범위/정의(?)는 
pitch-accented(강세를 받은) syllable부터 
그 다음 pitch-accent syllable 앞까지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trochee이다. 
즉, 강세가 '강약강약'과 같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foot은 '강'에서 
그 다음 '강' 앞까지를 말하게 된다. 

'강약' 하나가 하나의 foot !!!


(prosodic) foot을 사용하는 이유는 
spoken language processing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syllable-timed language의 경우 
'음절'이라는 단위를 기준으로 사람들이 인지를 한다.
반면 stress-timed language의 경우 각각 '음절'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stress-timed language에서 ('음절' 이외의) 다른 어떤 consistant한 기준이 될만한 단위가 필요하다. 
바로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prosodic foot'이다. 


어떤 개념을 말할때는 예시가 있어줘야!
한 번 "very important designer" 를 foot단위로 나눠보자.


일단 강세의 위치를 확인해준다.

1번째 음절, 3번째 음절 6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

very im'port'ant de'sing'er 
('는 강세 표시)


위에서 말한것 처럼 "pitch-accented(강세를 받은) syllable부터 
그 다음 pitch-accent syllable 앞까지"로 구분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foot이 구성된다.


[very im][portant de][singer]


참고적으로 foot은 
within-word boundary foot과 
cross-word boundary foot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word는 lexical word를 말하며, 
우리가 생각하는(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단어를 말한다.

foot을 말할땐 보통 cross-word boundary foot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Basic Concepts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폐쇄음 (Korean Obstruents)  (0) 2017.12.17
자립분절 음운론 (Autosegmental Phonology)  (0) 2017.12.17
Sonority hierarchy, Sonority scale  (0) 2017.12.17
OCP,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0) 2017.12.07
Larynx (후두)  (0) 2017.12.04

Sonority hierarchy 혹은 Sonority scale

소리들(phones)을 공명성에 따라 등급을 정한 것이다. 


즉, 하나의 소리가 조음될 때 비강, 구강에서 
공기 흐름이 얼마나 자유롭게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등급을 매겨 정한다는 것이다.


일단 자음 vs. 모음(?)
물론 자음보다는 모음의 공기 흐름이 더욱 자유롭다. 
그렇기 때문에 자음보다는 모음의 sonority scale이 더 높다. 

Sonority scale은 음절구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단 간단한 sonority hierarchy를 살펴보자.

 모음 (vowels)

[+sonoroant] 

근접음(approximants)

(glides, liquids 포함) 

 비음 (nasals)

 마찰음 (fricatives)

 [-sonorant]

 파찰음 (affricates)

 폐쇄음 (stops)


위에 위치한 아이일수록 sonority가 높은 소리다.

음운론 자질(feature)에서 [sonorant]가 있는데
비음 까지 [+sonorant]로 분류되고 

그 아래는 [-sonorant]로 분류된다.

[-sonorant]로 분류되는 아이들을 흔히 
장애음(obstruents)이라고 말한다. 


모음이라고 모두 같은 Sonority를 갖는 것은 아니다. 
모음 중에서는 저모음이 저모음보다 sonority 값이 높다. 

자음도 저 위 분류에서 조금 더 나눌 수 있다. 
한국어 자음의 경우 모두 무성음이기에 상관이 없을 수 있지만 
영어의 경우 유성음자음과 무성음 자음이 모두 존재한다. 
이 때 유성음이 무성음보다 sonority 값이 높다.


그렇다면 예를 들기 위해 
유성음 자음과 무성음 자음이 모두 존재하는 영어를 살짝! 살펴보자.

저모음

[ a ]

 중모음(?)

e  o ]

 고모음

i  u ]

 근접음

[ r ]

[ l ]

 비음

m  n ]

 유성 마찰음

[ z  v   ð ]

 무성 마찰음

[ s  f   θ ]

 유성 폐쇄음

[ b  d  ɡ ]

 무성 폐쇄음

[ p   t  k ]




'Basic Concepts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립분절 음운론 (Autosegmental Phonology)  (0) 2017.12.17
음보 (foot)  (0) 2017.12.17
OCP,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0) 2017.12.07
Larynx (후두)  (0) 2017.12.04
음절 구조 (Syllable Structure)  (0) 2017.11.30

OCP
Obligatory contour principle의 약자이다.


의무적으로 굴곡을 만드는 법칙.

음운론에서 나오는 개념이다.

사람이 말을 할 때, 자음만 계속해서 말하거나

모음만 계속해서 말하면 재미(?)도 없고 

말하기도 힘들고 의미 전달도 힘들어진다.

(물론 어떤 언어에선 몇 개의 자음만으로 

구성된 음절, 단어가 존재하긴 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자음-모음-자음-모음"과 같은 구조를 만들어 주기 위해

 굴곡(?)을 만들어 주는 이론이다.


한국어 예로는 "철수  먹는다.

" 대신에 "철수는 밥을 먹는다."라고 말하는 정도?
모음-모음 혹은 자음-자음의 구조를 피하기 위해서 


"은/는"을 사용하고 "을/를"을 사용한다. 


하지만 어떤것이 기저형(기본형)인지는

누구도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이것을 말한 이유는 

전에 동생한테 불어를 깨작깨작 배울 때,

아래와 같은걸 물어본 적 있다.


Que cet espace signifie pour moi? 라는 문장과
Que ce espace signifie pour moi? 이라는 문장에서 

과연 cet과 ce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네이버 사전에도 cet/ce는 같이나오고- 

cet은 활용형에도 별말이 없었기 때문-
한참뒤에 문자온걸 보니...

후속 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cet을 쓴다는... 


내가 나름 언어학을 배웠는데 


그것도 음성/음운론을 열심히 했는데- 

기본적인 것을 잊고 있었단 생각에ㅋ




de toute facon...
Que cet espace signifie pour moi? 


* OCP의 한 예를 자음과 모음으로 든 것이지 

여러 다른 경우가 음운현상과 관련해서 나타날 수 있다

'Basic Concepts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립분절 음운론 (Autosegmental Phonology)  (0) 2017.12.17
음보 (foot)  (0) 2017.12.17
Sonority hierarchy, Sonority scale  (0) 2017.12.17
Larynx (후두)  (0) 2017.12.04
음절 구조 (Syllable Structure)  (0) 2017.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