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 없는 영역

Autosegmental phonology 
proposed by Goldsmith, 
1976 at PhD thesis at the MIT

기본 개념은 
음운론적 표상(phonological representation)이 

하나 이상의 분절음의 
선형적 열(sequence)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응? 이렇게 쓰니까 내가 봐도 뭔 소린지 모르겠다.


조금 더 친절해지기 위해서 일단 간단한 용어 정리.

음운론적 표상(phonological representation)은...
하나의 소리,분절음을 음운론적으로 표현 하는 것?

예를 들어 /b/라는 것은
자음, 유성음, 폐쇄음, 양순음, 전방음(구강의 앞쪽에서 조음됨) 
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선형성
초기에 나온 음운론 이론은 
선형 모델(linear model)이고, 

autosegmental phonology는 
비선형 모델(non-linear model)이다.


선형 모델은 하나의 분절음을 음운론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하나의 음운론적 열로 표현한다.

비선형 모델의 경우에는 
하나의 분절음을 음운론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열로 표현한다.


어떤 모델에서 /b/를 [자음, 유성음, 폐쇄음, 양순음, 전방음]과 같이 
하나의 열(sequence)로 /b/의 성질들이 표현한다면
이는 선형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autosegmental phonology의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열로 표현되기 때문에 
비선형 모델(non-linear model)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끝내긴 너무 아쉽다.
음운론엔 예시가 있어야 제맛!

autosegmental model의 경우 
tone을 설명하기 위해 발생된 이론이라고들 말하곤 한다.




example from Margi

Margi어에는  /uˊ ʔ uˋ/  라는 단어와  
/aˊ r iˋ/  라는 단어가 존재한다고 한다.


글자위에 붙은 점 같은 애들은 tone을 표시해준다.

첫 번째 /u/와 /a/는 H(high) tone이고 
두 번째 /u/와 /i/는 L(low) tone이다.


위 두 단어를 붙여서 읽으면 어떻게 될까?
단순하게  /uˊ ʔ uˋ aˊ r iˋ/ 가 되면 좋겠지만 
Margi에서는 연속된 모음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uˊ ʔ uˋ aˊ r iˋ/ 에서 밑줄 친 부분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위 두 단어를 연결해서 말하려면 모음 하나는 사라져야 한다.

/uˊ ʔ uˋ/ + /aˊ r iˋ/ = /u ʔ w a r i/ 
연속된 모음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u/가 /w/로 바뀌었다. (아직 tone은 미표시)


근데 왜 하필 /w/냐고 물어보거나 
모음과 모음 사이에 자음을 넣으면 되는거 아니냐고 물어보면... 

완전 설명이 길어지거나 삼천포로 빠지기에... 
일단 그냥 /u/가 /w/로 바뀌었다는 사실만 알고 넘어가자;;


이렇게 해서 일단 segment(알파벳)에 관련된 문제는 해결이 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 tone 표시에 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두 개의 단어를 하나로 합치기 전에는 
모음이 4개 그리고 tone도 4개 1대1 대응이 가능했다.
(기본적으로 오직 모음만 tone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두 개의 단어를 하나로 합친 경우 
모음과 tone의 수가 맞지 않는다.


실제 Margi에서는  /uˊ ʔ w aˇ r iˋ/  과 같이 
/a/가 Rising tone을 갖게 된다.

이 경우 rising tone이 “low + high”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u/에 있던 low tone은 /u/가 사라지면서 같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뒤에 오는 /a/의 high tone과 결합해서 rising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렇듯 tone이 segment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봐서는 
tone에 대한 열(sequence)이 자율성(autonomy)을 갖고 
segment에 대한 열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그것을 autosegment라고 하고 
이런식으로 소리를 설명하는 음운적 모델을 
autosegmental phonology이라고 한다.


'Basic Concepts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폐쇄음 (Korean Obstruents)  (0) 2017.12.31
한국어 폐쇄음 (Korean Obstruents)  (0) 2017.12.17
음보 (foot)  (0) 2017.12.17
Sonority hierarchy, Sonority scale  (0) 2017.12.17
OCP,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0) 2017.12.07